북러 무기거래 현장 지목된 라진항…"컨테이너 더미 또 쌓였다"


17일 라진항을 촬영한 위성사진. 북한 전용 부두에서 약 90m 길이로 놓인 컨테이너 더미(아래 원 안)가 포착된 가운데 중국 전용 부두에서도 컨테이너 더미(위)가 보인다. 사진 VOA, Planet Labs
미국 백악관이 북한과 러시아의 무기 거래 현장으로 지목한 함북 나선시 나진항에서 지속적으로 컨테이너 더미가 포착됐다는 보도가 나왔다.
19일 미국의소리(VOA)에 따르면 미국 민간 위성기업 플래닛 랩스가 지난 17일 나진항을 촬영한 위성사진을 분석한 결과 길이 약 90m 파란색으로 식별된 직사각형 대형 물체가 부두에 쌓여 있는 것을 확인했다.
나진항은 백악관이 러시아로 가는 북한의 무기가 선적되는 장소로 지목했던 곳이다. 백악관은 지난 13일 “최근 몇 주 동안 북한은 러시아에 컨테이너 1000개 이상 분량의 군사 장비와 탄약을 제공했다”고 밝히며 위성사진을 공개했다.
이어 나진항 내 중국 전용 부두에서도 컨테이너 더미가 쌓인 모습이 확인됐다. 조만간 러시아 선박이 이곳에서 컨테이너를 선적해 러시아 항구로 옮길 것으로 전망된다.
이런 가운데 라진항의 북한 전용 부두 바로 옆 중국 전용 부두에도 컨테이너 더미가 쌓인 모습이 관측됐다.
나진항에는 북한, 중국, 러시아가 각각 전용으로 사용하는 부두가 총 3개 있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중국 전용 부두에도 지난 16일과 17일 컨테이너로 보이는 물체가 놓여있었다.

RUSI 보고서에 실린 지난 10월 10일과 11일 플래닛 랩스의 고화질 위성사진. 북한 전용 부두(아래)와 중국 전용 부두에서 선적 작업에 한창인 선박의 움직임을 볼 수 있다. 선박은 러시아 선적의 마리아호. 사진 VOA, Planet Labs 캡처
이 물체는 길이가 115m로 측정됐으며, 지난 13일∼16일 사이 중국 전용 부두에 적재한 것으로 추정된다.
유엔 안보리는 결의 1718호 등 다수의 대북 결의를 통해 북한의 무기 수출을 금지하고 있다. 미국 정부도 대통령 행정명령 등을 근거로 북한과 무기 거래를 하거나 무기 분야에서 협력한 개인과 기관 등에 독자 제재를 부과하고 있다. 북한과 러시아는 모두 무기 거래를 부인해 왔다.
相关文章
[HIT Forum] Korea's only astronaut highlights humanity's connection with universe
Korea’s only astronaut, Yi Soyeon, delivered a keynote speech Wednesday at The Korea Herald's H2023-12-08Seoul shares close nearly flat on US rate
South Korean stocks finished almost flat Wednesday as better-than-expected US retail sales data spar2023-12-08Pentagon official touts robust extended deterrence to S. Korea
A US defense official on Wednesday voiced confidence over the strength of America's "extended d2023-12-08- A drunk, undressed man in his 40s was apprehended by police for threatening a restaurant owner.On Tu2023-12-08
Art Busan's unveils galleries, theme for inaugural fair, Define Seoul
South Korea's leading art fair, Art Busan, unveiled the theme for its inaugural Seoul art show2023-12-08尹 대통령 "국립대병원 중추로 육성" 의료인력 확충 필요성 강조
윤석열 대통령이 ‘필수의료혁신 전략회의’를 주재하고 국립대병원 육성과 의료인력 확충 필요성을 강조했다.윤 대통령은 19일 오전 충북대학교에서 열린 ‘생명과 지역을 살리는 필수의료혁2023-12-08
最新评论